파이썬에서 정렬이 필요할 때는 `sort()` 나 `sorted()` 함수를 이용하면 쉽게 리스트의 원소를 정렬할 수 있다. 만약 리스트가 아닌 tuple, dict와 같은 자료형을 정렬하고 싶다면 그 때는 sort, sorted 함수에 파라마터 key를 이용해 정렬할 수 있다...
query string 값에 따른 html 렌더링할 때는 해당 url로 route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. query string은 route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. 그렇다면 어떻게 할 수 있을지에 앞서 query string과 route 개념을 간단히 정리하고 아래에서 마저 정리하려고 한다...
`*args`, `**kwargs`는 무한대로 arguments를 받고 싶을 때 사용한다. 따라서 몇 개의 arguments를 받을지 모르는 함수를 만들 때 주로 사용한다....
Dictionary Comprehesion은 새로운 딕셔너리를 만들 때 사용하는 간단한 표현식이다. Dictionary Comprehesion의 기본 구조는...
List Comprehension은 새로운 리스트를 만들 때 사용하는 간단한 표현식이다. List Comprehesion의 기본 구조는...
자동로그인 코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chromedriver와 selenum이 필요하다. 먼저 chromedriver는 https://chromedriver.chromium.org/downloads에서 본인의 크롬 브라우저에 맞는 버전으로 로컬디스크(c:)에 설치하면 된다. selenum은 `!pip install selenium` 코드로...
Flask는 파이썬 코드를 웹으로 구현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파이썬 프레임워크 중 하나이다. 통은 Django(장고)를 많이 사용하지만, 현재 진행하는 프로젝트 기간 상 장고를 배우기에는 빠듯해 비교적 가벼운 Flask를 통해 웹 구현을 하고자 한다...